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길 위에서 만난 작품 - 이재효 어제 길 위에서 작품을 보았습니다. 업무상 일이 있어 양재역 엘타워에 들를 일이 있었습니다. 나오면서 보니 로비에 눈길을 확 끄는 작품이 있어 잠시 감상하고, 아이폰으로 사진을 찍어 왔습니다. 설명에도 써 있듯이 나무기둥개체를 모아 하나의 구를 이룬 작품입니다. 실제로 봤을 때의 느낌은 뭐랄까. 굉장히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유기체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아! 멋있다! 라는 생각과 함께 잠시 서서 감상을 했습니다. 뭐라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역시 나무가 주는 따뜻함과 구가 주는 단순함, 그리고 역동감. 나무라는 재료의 본질과 단면, 그리고 결합 여러가지 느낌을 한번에 받았습니다. 오늘 아침 어제의 작품이 생각이 나서 작가분 이름으로 검색을 좀 해 봤는데, 굉장히 유명하신 작가님이네요. 나무와 .. 더보기
이것이 소셜이다 - 충청리뷰 페이스북 토론집 발간 시리즈가 아님에도 "이것이 소셜이다"라는 제목을 또 쓰게 되네요.^^ 소셜사례를 하나 소개해 볼까 합니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충청리뷰의 페이스북 토론집입니다. 충청리뷰는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1813967025 )을 통해 다양하게 지역주민과 교류를 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 페이스북 토론은 특히 주목할 만 합니다. 지난 4월 11일부터 11월 18일까지 약 7개월간 여러가지 주제들로 지역민들과 토론을 벌였습니다. 지역의 핵심 현안들을 주제로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토론할 수 있는 장을 열었고, 이를 바탕으로 매번 그 내용을 간추려 신문에 싣는 등 공유와 참여, 소셜로 할 수 있는 소통을 꾸준히 했다는 데 그 의의가 크다는 평가를 감히 해 .. 더보기
페북 "친구니까" 면상조합글이 위키트리 메인에 걸렸군요. 어제 놀라운 소셜을 목격하고 그 역사적 상황을 기록하고자 글을 썼었습니다. 바로 페이스북 "친구니까" 페이지의 "면상조합" 앱에 관한 글인데요. "친구니까" 가 엄청난 반향을 일으키자 덩달아 저의 글까지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페이스북 친구니까 바로가기 http://www.facebook.com/ByungTaste 관련글 보기. 2011/12/15 - [생각] - 이것이 소셜이다. 페북페이지 "친구니까" 면상조합 같은 글을 위키트리에도 올렸는데, 메인에 걸리는 영광을 얻었네요.^^ 해당 위키 기사 바로가기.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53207 인증샷. 정말 놀라운 소셜의 힘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자고 일어나니 어제 저녁 무렵 3000여명, 자.. 더보기
이것이 소셜이다. 페북페이지 "친구니까" 면상조합 필자. 오늘 페이스북에서 놀라운 소셜을 경험하였습니다. 제목 그대로 이것이 소셜이다. 라는 생각에 급하게 노트북앞에 앉았습니다. 12월 15일 오후 1시를 조금 넘긴 시간.. 필자의 페북지인께서 재미난 사진을 하나 올립니다. 딱 보시면 이게 뭐야 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아래 사진을 다시 보시죠. 프라이버시를 위하여 급한 모자이크 처리 ^^ 네. 그렇습니다. 같은 모양을 지닌 사진입니다. 알고보니 페이스북의 한 페이지에 연결된 페이스북앱에서 자신의 프로필 사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면상조합" http://www.facebook.com/ByungTaste 필자. 보자마자 바로 해 봅니다. 어떠신가요? 이제 아시겠나요? 그렇습니다. 이 페이지의 앱에서 페이스북 지인들의 이름을 이용하여 프로필 사진을 만.. 더보기
지난 10월, 설악산 비선대의 풍경 지난 10월 6일 설악산 비선대에 다녀왔었습니다. 사진정리를 못하다가 이제서야. 올려봅니다. 가을 단풍이 오기 전이라 아직 붉은 기운도 많지 않았던, 그저 화창했던 가을날의 풍경입니다. 오랫만의 나들이여서 그랬는지, 맑은 풍경만 기억에 남습니다. 두 달 반이 지난 지금. 추워진 날씨 속에 선선하며 따뜻했던 초가을의 설악산을 기억해 봅니다. 와선대에 누워서 주변경관을 감상하던 신선 "마고"가 이 곳에서 하늘을 올라갔다 하여 "비선대"라고 했다는군요.. 저도 오늘 하루는 신선이 된 기분으로 보내볼까 합니다.^^ 모두들 행복한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 7번 국도에서 만난 길 옆의 동해바다 ▲ 7번 국도에서 만난 길 옆의 동해바다 ▲ 설악산 국립공원의 케이블카 라인 ▲ 비선대 방향의 초입 신흥사 현판 ▲ .. 더보기
자석장난감 교구로 보는 변화의 중요성 저는 이제 두돌이 며칠 남지 않은 아이의 아빠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시각들로 보게 되는 일들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은 주말에 아이와 함께 놀다가 문득 깨달은 생각이 있어 마음에 담아두었던 내용을 적어봅니다. 변화 - 그것은 현대인들이 늘 가지고 다니는 화두와도 같은 말입니다. 경영서를 보아도, 자기계발서를 보아도 "변화"라는 주제가 꼭 빠지지 않죠. 얼마 전 아이의 저금통을 털어 요즘 많이 나오는 비싼 장난감 교구를 사주었습니다. (미안해 아들. 아빠가 너의 저금통을 털었다.^^) 주말에 자석장난감 교구로 자동차도 만들어보고, 비행기도 만들어보고 하며 함께 놀다보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교구가 어린 유아부터 초등생까지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자석교구이기에 붙였다 뗐다 하며 여러가지 모.. 더보기
[QR코드 활용사례] 에드윈 매장 QR코드 이벤트 인터넷 기사를 보다가 발견한 내용입니다. 에드윈의 매장 QR코드 이벤트 입니다. 일단 결론적으로, 이벤트가 상당히 복잡한 편입니다. 취해야 할 액션이 많다는 것이죠. ▼ 상기 포스터의 QR코드를 찍어본 화면 웹으로 접속할 수 있는 www.wstar.kr. 과 같은 화면을 보여줍니다. 모바일에 최적화 되어 이지 않고 통이미지를 얹어놓은 형태여서 글씨를 알아보기가 힘드네요. QR코드 랜딩페이지를 만들 때 가장 피해야할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상기 언급한 이벤트 사이트에 들어가 확인해보니 이벤트의 참여방법은 매장에 가서 세 개의 QR을 모두 찍고, 정보를 입력하면 참여가 완료되는 방식입니다. 여기까지는 다른 이벤트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단서조항이 있네요. 전국 매장을 모두 다니며, 가장 많이 QR을.. 더보기
[QR코드 활용사례] 경기국제관광박람회 축제QR이벤트 관련글 보기 2011/12/09 - [여행,기행] - 2011 제9회 경기국제관광박람회 참관후기 2011 제9회 경기국제관광박람회 참관후기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축제QR이벤트 사례를 소개합니다. 본 이벤트는 축제닷컴과 제가 몸 담고 있는 아이팜애드가 함께 진행을 했습니다. 개요는 박람회장에 총 10개의 경기도 주요 축제에 대한 QR코드를 배치하여 이 QR코드를 스캔 후 이름과 전화번호 뒷자리를 입력하여, 축제닷컴 부스로 오면 경품을 드리는 이벤트 입니다. 축제장 곳곳에 QR코드와 해당 지자체의 축제가 담긴 Y배너를 설치하였습니다. 이 QR코드를 스캔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열립니다. 같은 어플로 스캔하면, 캐쉬값을 남게 하여 다시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없앴습니다. 하단의 축제정보만 변경되어 총 10개의 .. 더보기
2011 제9회 경기국제관광박람회 참관후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고 있는 경기 국제관광박람회에 다녀왔습니다. 2011.12.8 ~ 10 까지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진행중입니다. 저도 제2전시장은 처음 가 보는데요. 입구에서. 꽤 멉니다. ㅎㅎ 일단 박람회는 무료 입장이니 주말에 시간 괜찮으신 분들은 한 번 방문해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경기도 대부분의 큰 시. 군은 참여하였습니다. 경상북도. 태안. 단양 등 타 시.도 및 인도 필리핀 등 몇 몇 해외부스도 보입니다. 이틀째지만 평일이고 추운 날씨라 그다지 많은 사람이 보이진 않았습니다. 그래도 4시가 넘어가자 관람객이 많아지네요. 각 시. 군의 축제, 특산물, 관광지 등에 대한 내용들을 저마다 마이크를 통해 홍보하느라 어수선한 분위기도 보입니다. 다트와 회전판, 추첨함, 퀴즈대회등을 이용하여 관람.. 더보기
2012 티스토리 달력사진 공모전 - 봄 2012 티스토리 달력 사진 공모전, 봄 지난 봄을 기억하며 포스팅해 봅니다. 여의도 벚꽃축제장인데, 생각보다 만개하지 않아 살짜쿵 실망했던 기억이 나네요. 오늘 눈이 내립니다. 거의 첫눈인데, 첫 눈을 맞으며 지난 봄을 추억해 봅니다. p.s 이런. 공모전 끝나버렸는데. 올렸네요. ㅎㅎ 그저 봄을 추억해 봐야겠군요. ㅜ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