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글두들 - 건축가 미스판데르로에 2012.3.27 구글두들 - 건축가 미스판데르로에 탄생 126주년오늘의 구글 두들을 소개합니다. 건축물 속에 구글로고를 보일듯 안 보일 듯 숨겨놓았네요^^ 건축가 루드비히 미스 반 데르 로에(Ludwig Mies van der Rohe, 1886~1969)철과 유리로 건축물을 설계하는 것으로 유명한 건축가라고 합니다. 현대건축의 3대 거장 중 한 명이라고도 하네요. 이와 관련해 네이버 archi님의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 있어서 링크로 소개합니다. http://blog.naver.com/rampager00/60107213455 더보기 환경부 윤종수 차관과 함께 하는 기후변화 완전정복 얼마 전 환경부 윤종수 차관의 트위터에서 재미난 이벤트가 벌어졌습니다. 그 내용을 좀 소개해 볼까 하는데요. 윤종수 차관의 트위터(@jsykorea58)에 이런 멘션이 올라왔습니다. 멘션을 클릭해 보니 다음과 같은 이벤트가 안내되어 있습니다. 꽤 많은 분들이 질문을 해 주셨구요. 총 47건의 질문이 올라왔다고 하네요. 간단히 살펴보면, ■ 기후변화의 정의(14건) ❍ 향후 10년안에 우리에게 찾아올 수 있는 가장 큰 문제는? ❍ 기후변화 유발의 가장 큰 원인은 대기오염인건가요? 수질·토양오염도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 사람이 줄어들면 환경오염의 요소는 점차 줄어들게 되는데 어떻게 보면 좋은현상 아닌가요? ❍ 현재와 같은 속도로 온난화가 계속되면 지구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 .. 더보기 구글두들 - 후안 그리스 탄생 125주년 오늘의 구글두들 화가 후안 그리스 탄생 125주년을 기념하는 구글두들입니다. (Juan Gris, 1887~1927) 후안 그리스는 에스파냐의 화가로서 마드리드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이주 후 피카소와 교류하며, 큐비즘(입체파) 운동을 추진 평생을 입체파 화가로 살다 간 인물입니다. 또 한명의 화가를 알게 되었네요^^ 두들 클릭시 화면 링크 https://www.google.com/search?q=%ED%9B%84%EC%95%88+%EA%B7%B8%EB%A6%AC%EC%8A%A4&ct=juan_gris-2012-hp&oi=ddle ▼ 위 링크 클릭시 보여지는 화면입니다. 그의 작품을 감상하시려면 https://www.google.co.kr/search?hl=ko&newwindow=1&tbm=isch&q=ju.. 더보기 언론 VS SNS 검증은 누가 하나? 요즘 SNS에 관련된 여러가지 기사들이 많이 나오는데요. 얼마 전 흥미로운 기사를 접했습니다. [미디어 전문가들 "SNS 유언비어 언론이 검증을"] http://news.mk.co.kr/v3/view.php?sc=60700104&cm=SNS%20%26%2365533%3B%AC%EB%B9%99%20%26%2365533%3B%8C%EC%9D%B4%26%2365533%3B%26%2365533%3B&year=2012&no=169279&relatedcode=000120329&sID=300 기사의 내용은 대략 SNS상의 유언비어를 언론이 검증해야 된다로 요약됩니다. 제가 가입하여 활동하는 그룹 중 엣지랭커 그룹에서 이 기사를 두고 이런 댓글이 오갔는데요. 한 번 읽어보시구요. 해당글 링크 https://www.fa.. 더보기 책이야기 - 그들은 아는, 우리만 모르는 소셜북스의 이벤트로 책이 배달되어 왔습니다. 진즉에 왔는데, 이리 저리 게으름을 피우다가 이제야 글을 남겨 봅니다. 소셜북스의 페이스북 페이지와 소개는 아래 링크로 간단히 대신해 볼까 합니다. 다만 독자, 작가, 출판사가 함께 책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새로운 방식, 신선한 시도로 늘 좋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는 곳이라는 것만 밝힙니다. 소셜북스 페이스북 페이지 http://www.facebook.com/socialbooks 소셜북스가 하고자 하는 일 http://goo.gl/7aqQ0 책 제목은 "그들은 아는, 우리만 모르는"으로 개마고원에서 펴냈고 탐사보도로 유명한 "김용진"기자가 썼습니다. 주요 골자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우리 귀에 익숙한 "위키리스크"에 폭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정리한 .. 더보기 생활속의 가죽공예 "제2회 한국가죽공예협회 회원전" - 청주 한국공예관 따뜻한 봄날이 온 걸까요? 아직 아침 저녁은 썰렁하지만, 봄기운이 완연합니다. 햇살은 따뜻하고, 하늘은 파랗네요. 오늘은 점심시간을 이용해 문화생활을 즐기고 왔습니다. 전시회에 다녀왔는데요. 간단히 소개해 볼까 합니다. 전시명은 "제2회 한국가죽공예협회 회원전 - 생활속의 가죽공예" 장소는 청주 한국공예관이구요. 지난 3월 9일(금)부터 이번 주 일요일인 3월 18일까지입니다. 저도 부지런히 했다면 작품을 낼 수 있었겠지만, 요즘 게을렀던 관계로 흠흠.. 공예 하면 여러가지 공예들이 많겠지만, 유독 제가 가죽공예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그 실용성입니다. 다른 공예에 비해 실생활의 쓰임새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가죽공예품은 쓰면 쓸수록 빛을 발합니다. 이번 전시회에는 약.. 더보기 환경부-법무부 "자생식물복원파트너십" 업무협약의 의미 지난 3월 13일 청주여자학교(구 청주소년원)에서는 특별한 업무협약식이 있었습니다. 바로 환경부와 법무부의 "자생식물복원 파트너십" 업무협약식입니다. 양 부처의 업무협약식이 왜 청주여자학교에서 열렸을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이야기 해 보실까요? 먼저 이름도 생소한 "자생식물복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환경부는 국제 생물유전자원 보호 협약인 ‘나고야 의정서’ 채택(2010.10) 이후 국가 차원의 생물유전자원 보전·복원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런 생물유전자원의 복원을 법무부와 함께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청주여자학교(소년원), 순천교도소, 영월교도소 등 3개 기관에서 둥근잎꿩의비름(멸종위기식물 Ⅱ급), 섬초롱꽃(한반도 자생식물), 동강할미꽃(지역특산식물) 등 총 29종 .. 더보기 구글두들 - 아키라 요시자와 탄생 101주년 종이접기 예술가 오늘은 화이트데이입니다. ^^ 지난 번 발렌타인데이에는 공감연애법을 알려 주었던 관련글 2012/02/14 - [SNS/모바일/IT] - 구글두들 동영상 - 발렌타인데이(안중근의사 사형선고일) 공감의 연애법 구글이기에 기대를 가졌는데, 역시 화이트데이는 우리나라만의 상업적 문화가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오늘 멋진 구글두들이 보이네요. 바로 이것입니다. 얼핏 보면 뭔가 싶은데요. 자세히 보시면 종이접기로 구글 로고를 만들어 두었네요^^ 요시자와 아키라(吉澤章, 1911년 3월 14일 ~ 2005년 3월 14일) 공교롭게도 태어난 날과 세상을 떠난 날이 같네요. 요시자와 아키라는 일본의 종이접기 예술가로 잘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저는 오늘 구글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지만, 일본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종이접.. 더보기 기대평 : 뮤지컬 롤리폴리 청주공연 - 충청리뷰 창간 19주년기념공연 제가 살고 있는 곳은 아는 분은 아시다시피 충북 청주입니다. 늘 공연이나, 전시 등이 아쉬운 부분이 많다고 느낍니다. 게을러서 많이 찾아보지도 못하지만요^^ 지역공연을 생각하면 늘 떠오르는 곳이 있는데, 바로 충청리뷰입니다. 해마다 좋은 공연을 유치하여, 지역민들에게 문화적 경험을 하게 해주는데요. 이번 3월 24~25일 충청리뷰 창간 19주년을 기념하여, 뮤지컬 "롤리폴리"를 청주예술의전당 무대에 올렸네요. 70~80년대에 유행하였던 추억의 팝송들과 흥미진진한 이야기 전개로 서울공연에서도 평이 좋았던 롤리폴리. 특히 배우 박해미와 가수 장혜진이 출연하여 더욱 재미있을 것 같네요~ 기대됩니다.^^ 소개 예고 동영상이네요^^ 그리고 전 여기서 구매완료^^ 티켓은 인터**에만 올라왔네요. http://tic.. 더보기 기사화된 "방사능 물질 유입보고서" - 은폐의혹? 오늘 이런 기사가 떴네요. 경향신문 방사성물질 유입 보고서, 국정원 외압으로 폐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3080300005&code=940701 주요 내용은 일본원전사고와 관련하여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해 3월 초 일본 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 폭발 때 방사성 물질이 넘어올 수 있다는 보고서를 만들었지만, 국정원의 외압으로 폐기되었다. 정도의 내용입니다. 또 다른 관련기사는 미디어오늘 편서풍 때문에 방사능 유입없다더니, 조사결과 왜 폐기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868 역시 비슷한 내용입니다. 하지만 한 가지 다른 점은 경향신문 기사에.. 더보기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