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환경부 윤종수 차관과 함께 하는 기후변화 관련 트위터 이벤트 답변 영상을 올렸었습니다.
환경부 8기 영상기자단 자격으로 촬영 및 블로그포스팅하였었죠.
관련기사 보기
2012/03/23 - [녹색이야기-환경] - 환경부 윤종수 차관과 함께 하는 기후변화 완전정복
1탄 결과가 게재된 후에 반응이 좋아 2탄을 준비하여 진행하였습니다.
3월 24일부터 윤종수 차관의 트위터에 공지가 되고, 4월 3일까지 트위터를 통해 질문을 받았습니다.
환경부 8기 영상기자단 자격으로 촬영하게 되었습니다.
환경부 유튜브와 윤종수차관의 트위터 @jsykorea58 를 통해 지난 16일에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좀 바빴던 관계로 이제야 포스팅합니다.
▲ 지난 3월에 올라온 윤종수 차관의 기후변화 완전정복 2탄 트위터글
9일간 총 35개의 질문이 접수되었구요.
아래와 같은 질문들이 쏟아졌습니다.
■ 기후변화 대책
❍ 정부가 예측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무엇인지? 어떤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지?
❍ 우리나라에서 생기는 기후변화 중 가장 조심해야 하는 변화는 무엇일까요?
❍ 사람이 줄어들면 환경오염의 요소는 점차 줄어들게 되는데 어떻게 보면 좋은 현상 아닌가요?
❍ 인간의 노력으로 기후변화로 늦출 수 있지만 막을 수는 없지 않나요? 획기적인 기후변화 막는 방법은 미래 과학기술 밖에 없지 않나요?
■ 기후변화 영향
❍ 극지방 해빙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와 대책은?
❍ 기후가 변화면 기온만 높아지는 건가요? 습도도 높아지나요?
❍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 겨울이 짧아지고 빨리 봄이 찾아 올 텐데, 입춘·경칩 등 날짜도 바뀌게 될까요?
❍ 바다 속에 가라앉은 아틀란티스도 기후변화 때문에 가라앉은 건가요? 몇 백년 뒤엔 지구 전체가 다 잠길 수도 있는거네요?
❍ 일본에 또 지진이 발생했는데, 기후변화 때문인가요? 갈수록 지진이 심해지나요?
■ 일상생활
❍ 4월에 눈이 내리고! 봄이 늦게 오는 이유가 기후변화 때문인거죠?
❍ 녹조가 미역은 아니죠?
❍ 기후변화 때문에 봄이 늦어지는 건가요?
❍ spring summer winter fall 이라는 팝송에서 봄,여름,겨울,가을 순서로 계절 변화가 있는 것 같은데 계절이 봄,여름,겨울,가을 순으로 바뀌는 나라도 있나요?
2탄 2부 생활속에서 느낄 수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4. 곧 우리나라도 물이 부족해 질 것이라고 하는데 빙하가 녹으면 물이 더 많아지는 것이 아닌가요?
□ 최근에 발표된 「OECD 환경전망 2050」에 따르면 2050년까지 39억명(세계 인구의 40% 이상)이 ‘심각한 물 스트레스’ 지역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OECD 국가 중 물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국가로 평가되고 있음
□ 빙하와 만년설의 감소는 전 세계적인 물 스트레스 증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 빙하와 만년설은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물(담수)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주요 강에 물을 공급하고 있음
※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총량은 14억㎦, 대부분 바다에 있고 전체 물의 2.53%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담수임
※ 히말리야 빙하와 만년설은 갠지스강, 인더스강, 메콩강, 양쯔강 등 세계 주요 하천에 물을 공급하고 있음
○ 지구온난화로 전 세계적으로 빙하가 녹아 사라진다면 단기적으로는 홍수, 장기적으로는 하천유량을 감소시켜, 물부족 현상을 심화시키게 됨
※ IPCC 제 4차 보고서(기후변화와 물)에 따르면, 히말리아 산의 빙하 감소는 홍수, 수자원 파괴 등을 초래하여 대부분 아시아 지역이 물부족으로 고통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5.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되는 대표적인 동·식물은 무엇인가요? 보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멸종 위기 생물은 북극곰, 바다표범을 들 수 있음
□ 우리나라의 고유 생물종 중 기후변화에 따라 멸종위기에 있는 대표적인 식물은 구상나무와 설앵초임
○ 오수진 기상캐스터는 구상나무를 들어보셨는지?
○ 전세계 크리스마스 트리의 60%를 차지하는 구상나무는 한라산, 지리산 등 서늘한 고산지대에 살고 있어 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한반도는 물론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이라 예상됨
○ 또한 개구리, 두꺼비와 같은 변온동물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아 개체수가 감소할 우려가 있음
□ 멸종되는 동·식물들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근원적으로 기후변화의 속도를 늦추도록 온실가스 저감 활동이 이루어져야 함
○ 또한, 기온변화에 따라서 서식지의 환경이 변화되므로 그 동·식물이 적응할 수 있는 다른 서식지에서 보전하거나 증식, 복원하는 대책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함
개인적으로도 이번 기후변화 완전정복 이벤트로 기후관련된 내용을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내용으로 재미난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하니 기대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녹색이야기-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록나침반 - 울지마톤즈의 청주에서의 만남 (2) | 2012.08.08 |
---|---|
저탄소차 자동차파워블로거 초청 시승회 현장에 가다 (0) | 2012.06.14 |
장바구니로 지구를 살릴 수 있다? 없다? (0) | 2012.04.20 |
황사야 꼼짝마라!! 황사감시센터를 소개합니다~ (0) | 2012.04.13 |
슬레이트지붕? 철거비를 준다구요? (0) | 201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