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다문화) 청소년 영상제작캠프 그 현장을 가다.
이번 포스팅은 도.농(다문화) 청소년 영상제작캠프를 소개합니다.
캠프개요
주최 : 사)한국영화인총연합회 경기도지회
주관 : 사)한국영화인총연합회 안산지회
후원 : 안산대학교, 재)안산시 청소년수련회, 잼스토리 영상미디어 교육연구소
일시 : 2012년 1월 17일~20일
장소 : 안산대학교 진리관 401호
▲ 주최단체인 사)한국영화인총연합회 경기지회 및 안산지회 영화감독 이기원회장의 인사말
▲ 안산대학교 기획처장 윤동열 교수 인사말
▲ 강의를 진행중인 잼스토리 영상미디어 교육연구소 김덕석 소장
본 캠프의 주 강의는 잼스토리 영상미디어 교육연구소의 김덕석 소장님께서 진행하십니다.
저는 캠프의 보조 강사로 배우며 가르치기 위해 참여하였습니다.
오늘 첫 날 강의만 간단히 포스팅하기로 하구요.
앞으로 이러한 미디어교육에 대한 생각들과 현장을 풀어볼까 합니다.
이번 캠프는 방학을 이용하여 중고생 28명이 참여하여, 이번 주 4일간 진행됩니다.
오늘 첫 날이지만 학생들의 적극적 수업참여로 재미있게 이루어졌습니다.
총 교육일정 4일동안
첫째날 사진을 이용한 동영상제작 및 합성, 이야기만들기
둘째날 이야기만들기 및 동영상촬영기법
셋째날 현장 촬영(남양주 영화촬영세트장)
넷째날 동영상변환 및 편집, 제작동영상 발표
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 오늘 강의의 핵심 내용은 영상은 언어다 라는 내용입니다.
과거에는 활자와 사진위주로 지식과 정보가 전달되었다면,
앞으로는 1인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영상으로 전달될 것이다.
라는 내용으로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특히 오늘 강의는 Greditor라는 영상제작편집툴을 이용한 편집방법을 알려주었습니다.
촬영이나, 스토리를 만들기 전에 영상제작편집툴을 설명하는 것은
편집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함입니다.
또한 대략의 편집방향을 사전에 알게 되면, 시나리오 제작이나 편집시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영상제작단계는...
주제 - 소재 - 창작 - 시놉시스(줄거리) - 씬(장면) - 시퀀스 - 시나리오 - 스토리 보드 - 제작계획서 - 제작 - 편집 - 제작발표 - 공모전 출품
의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
간단히 Greditor(그레디터) 툴을 소개하자면,
사진, 동영상, 음악 등을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롭으로 영상을 제작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코드엑트라는 회사에서 제작되었으며, 잼스토리 영상미디어 교육연구소 김덕석 소장님께서 개발하였습니다.
현재는 잼스토리 영상미디어 교육연구소를 통하여 학생들을 위한 미디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09년 대통령상을 받았을 만큼 훌륭한 제작툴이며, 초등학생도 30분만 교육을 받으면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소개는 www.greditor.com 을 참조해 주세요.
▲ GReditor 설명
과거에는 영상촬영 하면 비싼 장비, 캠코더 등을 떠올려 접근이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영상촬영을 위한 기기는 휴대폰, 보급형캠코더 등 많이 보급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영상촬영 후 편집이 가장 어려운 과제로 남아
여전히 UCC등이 소수의 사람들에게서 제작되었던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GReditor(그레디터) 툴을 이용한다면,
누구나 쉽게 영상제작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 아닐까 합니다.
필자도 위의 툴과 교육프로그램들이 우리 아이들의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어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 첫째날 마지막 시간의 마인드맵을 통한 소재 찾기 및 대략의 시나리오 만들기
미디어 교육이 우리 아이들에게 미치는 좋은 영향에 대해서는
별도로 글을 따로 써야겠습니다.
이 아이들이 후에 좋은 영화감독, 시나리오작가가 되지 않더라도
자신의 이야기를 충분히 풀어낼 수 있는 성인으로 자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럼 아이들 수업장면을 마지막으로 글 마치렵니다.
본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손가락과 좋아요를 꾸욱~~^^
'미디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xCBNU 오거나이저 모집!! (0) | 2012.04.02 |
---|---|
친환경 꼬마버스 - 로기 (2) | 2012.02.06 |
미디어교육을 통한 아이들의 자존감회복.. 한 발 딛습니다. (0) | 2012.01.30 |
바벰바 부족의 색다른 판결을 우리 교육에 적용한다면.. (1) | 2012.01.16 |
충북 교육 희망 탐색을 위한 100인 원탁토론 (0) | 2012.01.09 |